과목소개
본 강의는 기술사 시험 합격을 위하여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 답안을 먼저 보고 기본서를 보는 방식인 거꾸로 학습방법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강의교재인 “자연환경관리기술사”로 기본 강의를 진행하고, 전 분야를 강의 후 필독사항은 참고자료실에 자료를 올리거나, 특강형태로 보충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기본 서적들은 시간절약을 위하여 중요 필독 페이지를 추출하여 자료실에 공지할 예정이오니 필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책을 보는 것만으로는 시간도 많이 걸리고 기억잔류효과로 인한 학습효과도 약하므로 보기와 듣기를 동시에 하는 시청각교육(동영상, 학원수강)으로 학습 효과를 향상 시켜야함
동일한 내용의 반복 학습 보다는 줄거리가 연결될 수 있도록 빠르게 전체내용을 수강하는 것이 효과적임.
전체 과정을 학습했으면 중요 키워드를 중심으로 학습 틀을(서브노트활용) 형성해 나가야 함.
전체적인 틀(Framework)을 형성 후 이를 유연하게 조합하고 다룰 수 있도록 연습이 필요함(기출문제 풀이 연습활용)
핵심용어 정리가 되어있어야 1교시 용어정의 시간에 고득점이 가능하고 논술 시간에도 서론을 자신 있고 신속하게 시작할 수 있으므로 용어정의를 여러 번 연습 시험용지에 쓰면서 외워야함.
답안의 내용도 중요하지만 실제로는 답안지 작성양식과 요령이 상당히 중요 하므로 선배, 동료들의 기출문제 풀이 연습집을 이용하여 실제 답안지 양식에 쓰는 연습을 많이 하여야 함(채점관의 나이가 50세 전후라고 가정할 때, 짧은 시간에 많은 사람의 답안지를 채점하여야 하므로 눈에 잘 들어오는 답안지가 고득점 할 수 있을 것임)
따라서 굵은 펜으로 크게 쓰고, 도표와 그림(단면도, 배치도, 전개도, 개념도등)을 활용하여 답안작성 하는 연습을 많이 하여야 함.
기출문제를 스스로 모조리 풀어보거나 스터디 그룹과 나누어서 풀어보고 직접 필기하여 암기할 것(55점 이상 확보가능)
싸움은 이기는 싸움을 하여야함, 즉 이길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어 놓고 싸워야함
시사성 있는 문제가 매회 출제 되므로 평소 우리분야에 관련뉴스와 특집기사는 눈여겨 볼 것, 또한 각종 학술지, 논문 등을 수시로 구해서 필독할 것(나머지 5점 확보로 합격)
각 과목당 그리고 한문제당 목표점수를 너무 높게 잡지 말 것. 한 문제당 획득 가능한 점수는 10점 만점 기준으로 7-8점임, 반면 잘 몰라도 기본적인 내용만 어느 정도 써놓으면 2-3점은 받을 수 있음. 즉 10문제 * 7점 = 70점으로 합격이지만 잘 아는 문제라고 해서 10점 획득을 목표로 너무 많이 써서 다른 문제를 못 푼다면 4문제 * 10점 = 40점 과 3문제 * 6점 = 18점이면 58점으로 불합격함.
100점을 목표로 공부하면 전 분야를 학습하는데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고 따라서 중도포기 하는 경우가 발생함.
실제 특정분야의 완벽한 지식 보다는, 전 분야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과 각 분야의 역할과 협력에 관한 Network적인 지식과 응용력이 필요함.
따라서 애매함의 미학(?)을 즐길수 있는 대담함이 필요함(완벽하게 알지는 못해도 아는 것 만으로도 얘기를 풀어나갈 수 있는 능력과 배짱이 필요함.)
예를 들어 2-4교시의 경우 6문제 중에서 4문제를 풀고, 여기서 평균 60점을 넘으면 합격이므로 4/6 * 0.6 = 0.4로서 전체 내용 중 40%만 확실히 알면 합격입니다. 모든 것을 완벽히 알려고 애쓰지 마세요, 합격 후 찬찬히 공부 하시면 됩니다. 일단 합격이 우선입니다.
1교시,2교시에서 좀 어려운 문제가 나와서 잘 못썼다고 해도 절대 중도에 그만두고 나가지 마세요, 내가 어렵다고 느끼면 다른 사람도 상황은 똑 같습니다. 누가 끝까지 노력하고 애쓰는가에 따라 승리가 결정됩니다.(치킨게임과 같다고 생각하세요)
실제 시험 문제는 1교시(용어정리), 2교시(생태공학), 3교시(환경관련법규), 4교시(산림과 습지) 이런 식으로 각기 다른 과목이 출제되는 것이 아니라, 전 과목이 혼재되어 출제 되므로 3,4교시에서 만회할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